반응형 care64 영케어러(Young Carer) - 지원 정책, 한국 사회가 나아가야 할 길 가족의 질병, 장애, 노화, 정신적 어려움으로 인해 어린 나이에 돌봄을 책임지는 청년들. 우리는 그들을 영케어러(Young Carer)라고 부릅니다.겉으로는 효심 깊은 모습으로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학업·취업·사회관계에서 많은 기회를 잃고 있는 청년들입니다. 그렇다면 이들을 어떻게 지원해야 할까요? 세계 각국의 정책을 살펴보고, 한국 사회가 나아갈 길을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해외 사례: 제도화와 현장 지원이 이미 자리잡다🇬🇧 영국1995년 「Carers Act」 제정 → 영케어러를 법적으로 인정.교육 당국과 지방정부가 협력하여 학교 상담 서비스, 장학금, 휴식 프로그램을 운영.지역마다 영케어러 전담센터를 두어 청소년이 혼자가 아님을 느끼도록 지원.🇦🇺 호주국가 차원의 Young Carer.. 2025. 8. 15. 영케어러(Young Carer) 혹시 영케어러(Young Carer)라는 단어를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겉으로 보기엔 평범한 청소년이나 청년이지만, 그들의 하루는 또래들과는 전혀 다릅니다. 학교나 직장을 다니면서 동시에, 가족의 병간호와 집안 살림을 책임지고 있는 젊은 돌봄자들. 이들이 바로 영케어러입니다.👩👩👧 돌봄의 무게를 지고 사는 청년들영케어러들은 단순히 집안일을 돕는 수준을 넘어섭니다.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의 만성질환, 장애, 정신질환을 돌보거나, 어린 동생의 양육을 책임지기도 하지요.이 과정에서 또래들이 누려야 할 공부·여가·친구 관계가 희생되기도 합니다. 어떤 청년은 학교보다 병원에 더 익숙하고, 또 어떤 청년은 미래의 꿈보다 가족의 투약 시간표를 먼저 외우게 됩니다.💔 보이지 않는 그림자, 그리고 번아웃겉으로는 .. 2025. 8. 15. 가족돌봄청년 절반은 번아웃 상태-미충족 의료 현실 당신이 사랑하는 가족을 지키기 위해 젊은 시절부터 모든 책임을 짊어진다면, 과연 어떤 삶이 기다릴까요? 지금도 수많은 청년들이 병원조차 제대로 가지 못한 채 번아웃 상태로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외면한다면, 언젠가 우리 모두의 이야기가 될 수 있습니다. 지금, 진실을 확인해 보세요. 🌱 가족돌봄청년의 현실과 번아웃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가족돌봄청년의 46.4%가 최근 1년간 번아웃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같은 연령대 청년 평균(32.46%)보다 약 14%포인트 높은 수치입니다. 19~34세 청년 1만4,966명 중 가족돌봄청년 8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의 상당수가 심리적·신체적 피로를 호소하며 장기적인 부담 속에서 생활하고 있었습니다.🌱 의료 서비스 접근성.. 2025. 8. 15. [생애주기별 임산부 돌봄] 예비부부, 예비부모 무료 건강검진 지원 지금 결혼을 준비하고 계시거나, 소중한 생명을 맞이할 계획이신가요? 그렇다면 단 한 번의 검진으로 평생 건강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서초구에서 예비부부와 예비부모를 위한 무료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신체계측부터 혈액검사, 여성 전용 풍진 항체 검사까지 꼼꼼하게 챙겨주는 이 제도는 지금 바로 확인하셔야 할 필수 건강 정보입니다.기회는 준비된 사람에게만 찾아옵니다. 무료 검진 혜택, 과연 언제까지 계속될 수 있을까요? 지금 검진 신청하기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서초구에 주소지를 둔 예비부부 또는 임신 준비 중인 부부라면 누구나 검진 대상입니다. 예비부부의 경우, 혼인 전 1회 무료 검진을 받을 수 있고, 임신을 준비 중인 부부는 연 1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둘 .. 2025. 6. 30. 📚돌봄의 정의 📚 돌봄의 정의를 제시한 주요 학자 및 개념 이름분야돌봄의 정의 Carol Gilligan(1982)도덕철학·심리학돌봄은 “타인과의 관계 안에서 책임과 반응을 강조하는 도덕적 태도”로, 정의의 윤리와 구별되는 ‘돌봄의 윤리’(ethics of care) 개념을 제시.Joan Tronto(1993)정치철학·여성학돌봄은 “인간의 삶을 유지하고 회복하며 지속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일련의 활동들”로 정의. 돌봄은 개인적 행위가 아닌 사회적·정치적 책임임을 강조.Eva Kittay(1999)윤리학·장애학돌봄은 “의존적 존재를 존중하면서, 그들이 자율성을 향유할 수 있도록 돕는 관계적 활동”이며, 돌봄자는 ‘연결된 자율성’을 존중해야 함.Mary Daly & Jane Lewis(2000)사회정책학돌봄은 “신체적,.. 2025. 6. 26. AGING IN PLACE 1. 배경 및 목적우리나라는 2025년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20% 이상)에 진입하며,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 가능한 복지체계 구축이 필수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이 자신의 집과 지역사회 내에서 독립적이고 존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Aging in Place 정책의 도입 및 확산이 요구된다.본 보고서는 피라미드 모델을 기반으로 노인의 욕구를 단계별로 분석하고,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정책 모델: Aging in Place 피라미드 단계핵심 요소주요 내용5단계자기실현 및 사회참여평생학습, 자원봉사, 경험공유4단계정서적 안정과 관계망고독사 예방, 공동체 활동3단계건강관리 및 돌봄서비스재택의료, 방문간호, 원격모니터링2단계주거환경 및 접근성무장.. 2025. 6. 17. 이전 1 2 3 4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