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3

[생애주기별 임산부 돌봄] 예비부부, 예비부모 무료 건강검진 지원 지금 결혼을 준비하고 계시거나, 소중한 생명을 맞이할 계획이신가요? 그렇다면 단 한 번의 검진으로 평생 건강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서초구에서 예비부부와 예비부모를 위한 무료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신체계측부터 혈액검사, 여성 전용 풍진 항체 검사까지 꼼꼼하게 챙겨주는 이 제도는 지금 바로 확인하셔야 할 필수 건강 정보입니다.기회는 준비된 사람에게만 찾아옵니다. 무료 검진 혜택, 과연 언제까지 계속될 수 있을까요? 지금 검진 신청하기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서초구에 주소지를 둔 예비부부 또는 임신 준비 중인 부부라면 누구나 검진 대상입니다. 예비부부의 경우, 혼인 전 1회 무료 검진을 받을 수 있고, 임신을 준비 중인 부부는 연 1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둘 .. 2025. 6. 30.
📚돌봄의 정의 📚 돌봄의 정의를 제시한 주요 학자 및 개념 이름분야돌봄의 정의 Carol Gilligan(1982)도덕철학·심리학돌봄은 “타인과의 관계 안에서 책임과 반응을 강조하는 도덕적 태도”로, 정의의 윤리와 구별되는 ‘돌봄의 윤리’(ethics of care) 개념을 제시.Joan Tronto(1993)정치철학·여성학돌봄은 “인간의 삶을 유지하고 회복하며 지속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일련의 활동들”로 정의. 돌봄은 개인적 행위가 아닌 사회적·정치적 책임임을 강조.Eva Kittay(1999)윤리학·장애학돌봄은 “의존적 존재를 존중하면서, 그들이 자율성을 향유할 수 있도록 돕는 관계적 활동”이며, 돌봄자는 ‘연결된 자율성’을 존중해야 함.Mary Daly & Jane Lewis(2000)사회정책학돌봄은 “신체적,.. 2025. 6. 26.
AGING IN PLACE 1. 배경 및 목적우리나라는 2025년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20% 이상)에 진입하며,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 가능한 복지체계 구축이 필수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이 자신의 집과 지역사회 내에서 독립적이고 존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Aging in Place 정책의 도입 및 확산이 요구된다.본 보고서는 피라미드 모델을 기반으로 노인의 욕구를 단계별로 분석하고,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정책 모델: Aging in Place 피라미드 단계핵심 요소주요 내용5단계자기실현 및 사회참여평생학습, 자원봉사, 경험공유4단계정서적 안정과 관계망고독사 예방, 공동체 활동3단계건강관리 및 돌봄서비스재택의료, 방문간호, 원격모니터링2단계주거환경 및 접근성무장.. 2025. 6. 17.
🧭 돌봄의 역설을 넘어: 지속 가능한 돌봄 사회를 위한 제안 1. 제안 개요: 보이지 않는 손, 그 손을 돌보아야 할 때 현대 사회에서 돌봄은 필수적이지만, 여전히 개인의 헌신에 의존하는 구조입니다.부모의 병간호, 노인의 일상 돌봄, 중증 환자의 간병… 이 모두가 무보수 혹은 저임금의 노동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그 무게는 한 개인의 삶 전체를 잠식하고 있습니다.이것이 바로 돌봄의 역설입니다.“누군가를 살리기 위해 애쓰는 손이, 정작 자신을 잃어가고 있는 현실.”이제 우리는 돌보는 이들을 위한 정책이 필요합니다.단순한 ‘복지’가 아닌, 돌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시점입니다. 2. 현황 진단: 돌봄의 그림자📌 (1) 보호자 소진 증가가족 돌봄 제공자의 60% 이상이 우울감, 무력감, 소외감을 경험장기 요양, 암 환자 간병, 치매 부모 .. 2025. 6. 12.
🌿 Self-care Ritual – 나를 돌보는 작고 단단한 약속 “나는 누구를 돌보느라, 나를 놓치고 있었을까.”“나를 돌보는 일은 이기적인 게 아니라, 지속하기 위한 생존 전략이다.”🕯️ 매일 애쓰는 당신에게사람을 돌보는 일,그건 눈에 보이지 않는 ‘감정의 노동’입니다.가족을 챙기고, 환자를 돌보고, 감정을 억누르며 하루를 보내는 당신은이미 자신을 한 번쯤 잃어버린 경험이 있을지도 모릅니다.하루를 마치고 돌아와도몸은 무겁고, 마음은 공허한 그 느낌.그건 단지 피곤함이 아니라,“나”라는 존재가 소외된 결과일 수 있습니다. 🌫️ 돌봄의 역설: ‘내가 나를 잃어간다’우리는 늘 누군가에게 다정합니다.하지만 정작 나 자신에겐 무관심한 경우가 많습니다.해야 할 일은 기억하지만, 내가 무엇을 느끼는지는 모르고남을 이해하려 애쓰면서, 내 감정은 외면하고시간을 쪼개 일하지만, .. 2025. 6. 12.
🌿 소진 - "열심히 한다고 다 괜찮아지는 게 아니었다." 소진(burnout)은 단순한 피로가 아닙니다.그것은 의미 있는 일을 하려는 사람이, 자신을 잃어버릴 정도로 너무 오래 외면당할 때 생기는 깊은 내상입니다.🌑 소진은 왜 생기는 걸까?"열심히 한다고 다 괜찮아지는 게 아니었다." 🔹 1. 자기 희생의 무게많은 사람들은 타인을 돕고, 사회적으로 유의미한 일을 하기 위해 자신의 에너지와 감정을 기꺼이 사용합니다.특히 간호사, 교사, 돌봄자, 요양보호사,상담사, 부모처럼 사람을 다루는 직업일수록, ‘나’를 미뤄두는 것이 당연시됩니다.“내가 참고 버티면 다 괜찮을 거야.”이 생각은 스스로를 지우는 첫 문장이 됩니다. 🔹 2. 지속적인 감정노동하루 종일 웃어야 하고, 참아야 하고, 상냥해야 한다면그 ‘감정’은 진짜 내 것이 아니라 일로 만들어진 가면입니다... 2025. 6. 12.